[구매혁신 컨설팅 이야기-4] '내부 구매현황 분석'에 대하여
[본 컨설팅 이야기는 세포아소프트가 2013.11.20 I사로부터 법적 인계한 모든 지적소유권 자료를 참조하여 재정리한 내용입니다]
1단계 - 구매현황 진단
오늘은 구매혁신 컨설팅 프로젝트 '1단계 - 구매현황 진단'중에서 'Stage 1.1 내부 구매현황 분석'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.
첫 이야기에서 설명했듯히 '구매혁신 컨설팅 프로젝트'의 추진단계는 아래와 같이 3단계로 구분됩니다.
1단계 - 구매현황 진단
2단계 - TO-BE 개선안 수립
3단계 - 구매혁신 로드맵 작성
첫 번째 단계인 '1단계 - 구매현황 진단'은 다시한번 아래와 같이 3개 Stage로 나눌 수 있습니다.
Stage 1.1 - 내부 구매현황 분석
Stage 1.2 - 비용 분석
Stage 1.3 - AS-IS 분석 결과
상기 2개의 스테이지 분석을 위해 소속원 인터뷰가 필요하고 이에 대한 '인터뷰 프레임웍'에 관해 두번째 이야기에서 설명드렀습니다.
Stage 1.1 내부 구매현황 분석
오늘은 "Stage 1.1 내부 구매현황 분석"에서 해야 할 일을 정리해 보겠습니다.
'내부 구매현황 분석'은 전략, 조직, 프로세스, IT인프라(시스템), 기준정보 5개 영역에서 인터뷰 및 규정 및 지참, 기타 장표, 시스템 매뉴얼, 시스템 설명 등을 통해 각 영역의 현황을 분석하고 해당 분석 결과를 정리하여 분석 보고서를 만듭니다.
5개 영역의 주요 분석 방향성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.
1. 현행 구매전략 분석
- 경쟁력 확보를 위해 전사적인 구매전략 방향성을 명확하게 수립하고 실천적인 실행전략으로 접근하기 위해 현재 구매전략을 확인한다.
- TO-BE 구매전략에 해당하는 원가절감전략, 신규소싱전략, 구매 규정 및 정책, 소싱전략, 협상전략, 공급사발굴전략, 협업전략 등에 비추어 현재 구매전략 수준을 확인한다.
2. 현행 조직 분석
- 현재 사업내용과 매출 및 매입, 매입비중 등을 파악한다.
- 전사 조직 현황을 파악한다.
- 전사 구매 조직도를 파악한다.
- 조직별 구매현황을 파악한다.
- 현재 조직별 구매 역할 및 책임(R&R)을 파악한다.
- 구매조직 직급별 역할과 책임(R&R)을 파악한다.
- 구매 담당 직무 분석
3. AS-IS 프로세스 분석
- 품목 유형별(원부자재, 일반자재, 공사, 용역 등) 구매 프로세스를 파악한다.
- 구매 프로세스를 업무영역별로 그룹핑하여 파악한다.
- 전사 통합구매 프로세스를 파악한다.
- 회사별 사업부별 구매 프로세스를 파악한다.
- 선진 프로세스와 비교한다.
4. IT인프라(시스템) 분석
- 현재 사용 중인 전체 시스템을 파악한다.
- 업무 영역별로 시스템 보유 현황을 파악한다.
- 구매 시스템 현황을 파악한다.
- IT인프라 현황을 파악한다.
- 전체 IT인프라 및 시스템의 이슈를 파악한다.
5. 기준정보 분석
- 기준정보(품목마스터, 공급사 마스터, 구매기준정보) 관리 현황을 파악한다.
- 기준정보 관리 프로세스 및 정책을 파악한다.
- 기준정보 관리 프로세스 및 정책의 이슈를 파악한다.
오늘은 구매혁신 컨설팅 프로젝트의 첫 번째 단계인 '1단계 - 구매현황 진단'중에서 'Stage 1.1 내부 구매현황 분석'대해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.
다음 이야기는 구매혁신 컨설팅 방향을 결정하는 기초 데이터로 활용에 필수적인 '비용 분석(Spend Analysis)'에 대해 설명 드리겠습니다.
감사합니다.
세포아소프트 마케팅 팀
세포아소프트
홈페이지 www.sepoasoft.co.kr
문의 이메일 sales@sepoasoft.co.kr
전화 02-6242-3094